티스토리 뷰

친한친구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축의금 금액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축의금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봄이 되면 주변에 유독 결혼식을 올리는 지인들이 많아지곤 합니다. 5월의 신부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은 아니겠죠.


하지만 친분여하를 막론하고 결혼식에 초대를 받고나면 축의금을 대체 얼마를 내야할지 난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저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알고지내는 경우에는 5만원.

꽤 친한 경우는 10만원.


절친인 경우에는 다른 친구들과 함께 몇 십만원씩 거둬서 주거나, 필요한 가전제품을 함께 사줍니다.


1:1로 친한경우엔 필요한 것이 있다면 전자제품을 사주거나 역시 몇 십만원 가량 축의금을 내곤합니다.


사실 개개인의 친분여하와 본인의 경제사정에 따라서 축의금의 액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무리 친한 친구의 결혼식이라고 하더라도 수중에 돈이 없는데 빚을 내서 축의금을 낼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하지만 보통 친분관계에서는 안친하면 5만원 친하면 10만원이 가장 일반적인 액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당히 친한 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축의금이 3만원부터 시작해서 홀수로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물가를 고려해서 3만원을 축의금으로 내는 분들은 거의 없을 거라 생각이 됩니다. 


예식장에서 먹고오는 밥값만해도 3만원이 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죠. 


축의금 대신 주는 가전제품으로는 밥솥, 청소기, 냉장고, 티비 등이 있습니다. 축의금 대신 가전제품을 받게 될 경우 받는 사람도 물건을 사용하면서 친구들을 떠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결혼식의 축의금은 신랑신부가 아니라 부보님앞으로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큰 액수를 낼 때는 친구와 먼저 상의해서 따라 줄건지 식장에서 낼 건지 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친한친구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결혼식이 유독 많은 봄, 친한친구 축의금이 고민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